토지이용면적의 수요 추정
개요 토지이용면적의 수요 추정은 주거지역 ,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소요되는 면적을 예측하는 것이다. 토지이용면적의 수요는 전통적으로 원단위법에 의하여 3단계의 절차를 통하여 추정된다.1단계는 목표연도의 인구 및 경제 활동 규모를 예측하는 단계로, 각종 기법에 따라 인구수와 종업원수, 생산액 등 경제활동등을 예측한다. 2단계는 목표연도의 요도별 토지이용 기준 밀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인구밀도와 주택당 상면적(주거지역) 종사자당 또는 이용자당 건물면적, 종사자 1인당 사무실면적(상업업무지역), 종사자당 또는 이용자당 건물면적, 종사자 1인당 사무실 면적(상업업무지역), 생산별 고용자당 부지면적(공업지역), 1인당 녹지면적(녹지지역), 건폐율 , 용적율 (공공시설) 등이 설정된다. 밀도는 순밀도..
2022. 4. 9.
토지이용계획의 개요 및 수립과정
토지이용계획은 토지에 적합한 용도와 시설을 찾는 계획이며, 사업 목적에 맞는 입지를 결정하는 계획인 동시에 최적의 토지이용 질서를 부여하는 계획이다. 토지이용계획은 도시, 단지 및 지구단위, 그리고 건물 등 대상지 규모에 따라 강조점은 다르지만,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경쟁력 강화, 그리고 환경과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개발 등 토지의 최적 이용에 목표를 두고 있다. 도시차원으로 갈수록 안전성, 보건성, 쾌적성 등 공공으 이익이 중시되며, 건물 차원으로 갈수록 안정성 ,보건성, 쾌적성 등 공공의 이익이 중시되며, 건물차원으로 갈수록 효율성, 편의성, 경제성 등 사업성이 중시되는 경향이 있다. 토지이용계획은 일반적으로 입지계획, 시설 및 규모 계획, 그리고 입지배분 계획으로 분류된다. 입지 계획은 비젼이나..
2022. 4. 8.
도시정보시스템(UIS)의 미래
GIS 발달은 공간정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컴퓨터를 시용하여 해결하려는 기술발전과 활용분야의 확대로 설명할 수 있다. 1960년대 중반에 전통적인 지도자료를 수치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최초의 GIS인 CGIS가 개발되었다. 이후, 1970년대에는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삼림자우너관리 , 인구분석, 환경연구, 도시계획, 통계자료 관리, 하천자료 관리 등에 GIS가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에는 적용범위가 더욱 확장되어 정부차원이나 연구기관의 점유물에서 벗어나 민간기업이나 일반단체에서도 환경, 인구, 마케팅, 지도DB관리, 지도제작드으이 분야에 일반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는 그 이용이 대중적으로 확대될 뿐만 아니라 원격탐사, 마케팅, 토지..
2022.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