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 계획
도시교통에 있어 주차장 정비에 대한 합리적 계획 수립과 관련 제도의 정비는 교통 혼잡의 해소, 교통 안전의 증진 등의 측면에서 중요한 검토 요소이다. 주차대책의 기본 사항은 노상주차장의 정비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 주차수요에 대응하여 일방적으로 주차장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활동과 기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주차장의 배치와 효율적 이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차주쇼의 지역적 시간적 발생분포를 파악하여 주차장의 적정 입지, 배치 및 규모를 결정하여야 한다. 주차장의 종류는 노상주차장, 노외주차장 , 부설주차장, 기계식 주차장으로 구분되는데, 노상주차장은 도로의 노면이나 교통광장에 설치된 주차장으로서 일반의 이용에 제공되는 것을 말하고, 노외 주차장은 도로의 노면이나 교통광장외..
2022. 4. 12.
교통계획과정
교통계획의 유형 교통계획은 계획기간에 따라 장기계획, 중기계획, 단기계획으로 나눌 수 있고, 계획수단과 계획대상의 특성에 따라 관리 운영계획, 가로망계획, 대중교통계획, 간선도로계획, 이면도로계획 등으로 구분되고 , 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따라 국가 교통계획, 지역교통계획, 도시교통계획, 지구교통계획, 교통축계획으로 나눌 수 있다. 교통계획은 계획기간을 막론하고 도시지역에서 일어나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접근방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장기교통계획과 단기교통 계획 간에는 교통사업의 유형이나 분석방법, 정책목표 등 다루어야 할 내용에 있어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장기교통계획으로는 소수의 대안, 유사한 대안, 교통수요가 비교적 고정, 단일교통수단 위주, 공공기관정책, 장기적..
2022.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