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도시계획

주차장 계획

by 인포맘이야 2022. 4. 12.

도시교통에 있어 주차장 정비에 대한 합리적 계획 수립과 관련 제도의 정비는 교통 혼잡의 해소, 교통 안전의 증진 등의 측면에서 중요한 검토 요소이다. 주차대책의 기본 사항은 노상주차장의 정비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 주차수요에 대응하여 일방적으로 주차장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활동과 기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주차장의 배치와 효율적 이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차주쇼의 지역적 시간적 발생분포를 파악하여 주차장의 적정 입지, 배치 및 규모를 결정하여야 한다.

주차장의 종류는 노상주차장, 노외주차장 , 부설주차장, 기계식 주차장으로 구분되는데, 노상주차장은 도로의 노면이나 교통광장에 설치된 주차장으로서 일반의 이용에 제공되는 것을 말하고, 노외 주차장은 도로의 노면이나 교통광장외의 장소에 설치된 주차장으로서 일반의 이용에 제공되는 것을 지칭한다. 

부설주차장은 건축물, 골프연습장, 기타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부속되어 설치된 주차장으로서 당해 건축물이나 시설의 이용자 또는 일반의 이용에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기게식 주차장은 기계식 주차 장치를 설치한 노외 주차장 및 부설주차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배치는 목적까지의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반경 500m의 범위의 주차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도시계획 주차장의 규모는 토지이용형태, 도시기능의 집적도 등의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지며 주차장의 관리 운영상 100대 이상의 규모가 바람직하다.

주차장의 구조와 형식은 설치장소, 부지형태, 교통처리 방식 등에 따라 달리잔다. 주차장의 출입구는 일반도로교통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도로 및 지점에 설치하고, 차로 폭원은 5.5m 이상으로 하고, 일방통행의 경우는 3.5m 이상으로 한다.

주차형식은 직각 경사, 평행 주차방식이 있는데, 부지 이용 효율은 직각 주차 방식이 가장 좋아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있다.

 

터미널계획

테미널은 각종 교통노선의 집결과 배분이 이루어지는 교통시설로 통칭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일정 목적을 가진 이동주택이 일정 수송수단과 특정의 노선을 주행하여 도착 또는 환승을 하는데 피룡한 기능을 제공하는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교통수단이 진출입하는 장소이므로 특정 교통수단만으로 터미널을 분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터미널 계획은 터미널 종류별로 적정 입지를 결정하는 문제와 규모와 내부시설 배치에 대한 사항을 결정하는 문제로 대별된다. 이 중 터미널의 입지선정 문제는 도시계획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터미널에는 다수 의 교통노선과 교통량이 집중되고, 대량 여객과 관련 종사자의 통행수요가 발생한다. 또한, 환승 승객의 경우, 수단간 이동에는 보행통행이 수반되므로 이를 대상으로 상업활동이 전개되어 터미널 주변은 상업업무지구가 형서오디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지구는 터미널 분류에서와 같은 대상지역 규모에 따라 복합적 구조로 형성되므로 각종 터미널을 도시권내에 배치함은 교통계획사어에서 검토는 물론, 그 자체가 도시계획의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시사 > 도시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반시설과 도시계획시설  (0) 2022.04.14
기반시설계획  (0) 2022.04.13
교통 수요추정방법  (0) 2022.04.11
교통계획과정  (0) 2022.04.10
교통계획  (0) 2022.04.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