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

교통계획과정 교통계획의 유형 교통계획은 계획기간에 따라 장기계획, 중기계획, 단기계획으로 나눌 수 있고, 계획수단과 계획대상의 특성에 따라 관리 운영계획, 가로망계획, 대중교통계획, 간선도로계획, 이면도로계획 등으로 구분되고 , 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따라 국가 교통계획, 지역교통계획, 도시교통계획, 지구교통계획, 교통축계획으로 나눌 수 있다. 교통계획은 계획기간을 막론하고 도시지역에서 일어나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접근방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장기교통계획과 단기교통 계획 간에는 교통사업의 유형이나 분석방법, 정책목표 등 다루어야 할 내용에 있어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장기교통계획으로는 소수의 대안, 유사한 대안, 교통수요가 비교적 고정, 단일교통수단 위주, 공공기관정책, 장기적.. 2022. 4. 10.
교통계획 교통계획의 개요 교통은 사람이나 화물의 운반을 위하여 장소와 장소간의 거리를 극복하 위한 행위이다. 교통은 출근, 업무, 쇼핑, 위락 등과 같은 목적이나 기회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교통은 통행 활동 그 자체로부터 어떠한 효용도 창출되지 않고, 오히려 혼잡과 같은 비효용이 수반된다. 또한 교통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며, 활동을 보조해 주는 의미를 가지며, 일반재화와는 달리 저장할 수 없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런 측면에서 교통수요를 유발된 수요라 한다. 여기서 통행은 사람의 이동행위를 측정하는 단위로서, 한 사람이 1개의 교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전체 교통과정이라고 정의된다. 엄밀하게는 사람통행이라고 하며, 사람이 이동행위와 교통 간 연관 관계의 해석이나 교통빈도의.. 2022. 4. 10.
토지이용의 입지배분 1.입지배분의 기본방향 설정 입지배분의 기본방향은 장소에 대힌 비전과 목표를 실현하는 기준이다. 다양한 토지이용의 연계와 상층을 조절하는 방향인 동시에 효율적인 입지배분 방향과 수단 등이 제시된다. 입지배분방향은 사업의 목적과 현황 및 과제에 따라 다르게 추상적으로 설정되며, 수단은 보다 구체적이며 물리적으로 다음 사례외 같이 제시된다. 즉, 오픈스페이스 확대와 압축도시에 기반한 총밀도는 낮고 순밀도는 높은 개발형태, 전원과 도시가 공존하는 쐐기와 회랑 개발 패턴 , 연계와 효율에 입각한 직녹주 직주근접 직주균형 배치 고속지향의 광역교통망과 교통수단의 다양성 확보 건강한 걷는 도시와 자전거 대중교통과 TOD 개발 패턴 유동인구 활동지역의 고밀 직접개발과 거주지역의 다양한 밀도와 SOCIAL MIX 자연보.. 2022. 4. 9.
토지이용면적의 수요 추정 개요 토지이용면적의 수요 추정은 주거지역 ,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소요되는 면적을 예측하는 것이다. 토지이용면적의 수요는 전통적으로 원단위법에 의하여 3단계의 절차를 통하여 추정된다.1단계는 목표연도의 인구 및 경제 활동 규모를 예측하는 단계로, 각종 기법에 따라 인구수와 종업원수, 생산액 등 경제활동등을 예측한다. 2단계는 목표연도의 요도별 토지이용 기준 밀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인구밀도와 주택당 상면적(주거지역) 종사자당 또는 이용자당 건물면적, 종사자 1인당 사무실면적(상업업무지역), 종사자당 또는 이용자당 건물면적, 종사자 1인당 사무실 면적(상업업무지역), 생산별 고용자당 부지면적(공업지역), 1인당 녹지면적(녹지지역), 건폐율 , 용적율 (공공시설) 등이 설정된다. 밀도는 순밀도.. 2022.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