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계획과정
교통계획의 유형 교통계획은 계획기간에 따라 장기계획, 중기계획, 단기계획으로 나눌 수 있고, 계획수단과 계획대상의 특성에 따라 관리 운영계획, 가로망계획, 대중교통계획, 간선도로계획, 이면도로계획 등으로 구분되고 , 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따라 국가 교통계획, 지역교통계획, 도시교통계획, 지구교통계획, 교통축계획으로 나눌 수 있다. 교통계획은 계획기간을 막론하고 도시지역에서 일어나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접근방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장기교통계획과 단기교통 계획 간에는 교통사업의 유형이나 분석방법, 정책목표 등 다루어야 할 내용에 있어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장기교통계획으로는 소수의 대안, 유사한 대안, 교통수요가 비교적 고정, 단일교통수단 위주, 공공기관정책, 장기적..
2022. 4. 10.
토지이용면적의 수요 추정
개요 토지이용면적의 수요 추정은 주거지역 ,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소요되는 면적을 예측하는 것이다. 토지이용면적의 수요는 전통적으로 원단위법에 의하여 3단계의 절차를 통하여 추정된다.1단계는 목표연도의 인구 및 경제 활동 규모를 예측하는 단계로, 각종 기법에 따라 인구수와 종업원수, 생산액 등 경제활동등을 예측한다. 2단계는 목표연도의 요도별 토지이용 기준 밀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인구밀도와 주택당 상면적(주거지역) 종사자당 또는 이용자당 건물면적, 종사자 1인당 사무실면적(상업업무지역), 종사자당 또는 이용자당 건물면적, 종사자 1인당 사무실 면적(상업업무지역), 생산별 고용자당 부지면적(공업지역), 1인당 녹지면적(녹지지역), 건폐율 , 용적율 (공공시설) 등이 설정된다. 밀도는 순밀도..
2022. 4. 9.